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잘먹는데 크지않는다면 저신장증 의심하라 (원인/진단/치료/보험)

질병정보

by 어니이니 2024. 12. 14. 01:00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일전에 소아 성장에 관련한 정보를 정리해서 소개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성장판에 도움 되는 음식이나 성장판을 자극하는 운동법등 성장기 아이들 둔 부모님이라면 도움 되실만한 정보를 알려드렸었는데요, 오늘은 성장호르몬 검사를 해서 저신장증으로 진단받을 경우에 검사와 진단방법, 치료법과 보험가능 여부까지 알기 쉽게 알려드릴게요

반응형

 

 

우리아이 성장을 자극하는 운동법! (뼈나이 체크법/키크는 방법)

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첫째가 8살이 되었는데 사실 키가 조금 작은 편이라서 성장에 대한 고민이 많은 편이에요. 주변에서도 엑스레이를 찍어서 발육이 더딘 것이 맞다면 호르몬 주사를

eonyainy.tistory.com

 

 

아이들 크게 키우려면 이것 꼭 먹이세요! (성장판 자극 음식, 명의추천, 소아비만)

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지난 토요일에 아이들의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운동법과 스트레칭법을 소개해드렸었는데요. 키를 크게 하는 방법 중에 사용하는 보약이나 성장보조제는 사실

eonyainy.tistory.com

 

 

 

어릴 때 살은 키로 간다는 말이 사실일까?


저신장증에 관한 블로그 포스터

예전포스팅에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사실 그런 경부는 매우 희박합니다
어린 시절 비만은 성인비만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고, 두통이나 고혈압, 수면 후호흡증,  2형 당뇨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비만관리는 조기에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잘 먹지 않고 크지 않아 걱정일 경우 저신장증을 의심하라


잘 먹지 않고 크지 않는 경우 저신장증을 의심해 보고 검사를 해보셔야 하는데, 성별과 연령대의 어린이 100명 중에서 키가 3등 미만인 경우를 저신장증이라고 합니다(평균과 10cm 이상 신장차이가 날 경우)

 

 

 

 

저신장증의 원인


저신장증의 원인은 의학적으로는 '성장호르몬 결핍, 갑상선 기능저하증, 선천성 골격계 질환 같은 경우', 
유전학적으로는 '부모님이 키가 작을 경우'

또는 체질성으로 늦게 성장하는 '체질성 성장 지연'이 있습니다

→  실제, 대부분의 경우가 부모님이 키가 작거나 체질성 성장 지연이라고 하네요 

 

 

 


저신장증 검사와 진단


1) 성장판검사

저신장증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성장판 검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성장판 검사는 왼쪽 손목에 X-RAY  촬영이 가장 정확합니다. 
나이에 따라 검사하는 부위가 다르기도 하지만 팔꿈치나 어깨뼈의 엑스레이 또한 같이 찍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뼈나이와 현재연령, 키를 이용해서 최종 신장을 예측할 수는 있지만 나이가 너무 어리거나 너무 많으면 최종 성인 신장의 예측이 어렵고 사춘기 시기나 사춘기의 진행속도, 성장속도에 따라서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서 대략적인 예측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성장판검사는 적기에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는 점!

 

 


2) 혈액검사
성장호르몬 자극에 의해 간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인 IGF-1 검사는 비교적 하루동안의 변화량이 적기 때문에 성장호르몬자극 검사보다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정상인의 수준보다 2 표준 편차 이하로 감소되어 있을 경우 성장호르몬 결핍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 하루 중에도 수시로 분비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도록 자극하는 약제를 투여하고 여러 차례 채혈한 혈액 속에 성장호르몬의 농도가 낮을 경우 성장호르몬 결핍증으로 진단할 수 있게 됩니다

 

 

 

저신장증 치료


저신장증으로 진단이 되면 보통 성장호르몬 치료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호르몬 치료는 골격근과 장골을 성장시켜서 신체의 최종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치료시기는 호르몬 결핍증과 같은 질환이 있을 경우 2세 이후부터 투여가 가능합니다. 또한 임신주수에 비해 작게 태어난 저신장 소아의 경우 4세 이후부터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렇게 저신장증으로 진단을 받게 되면 치료비는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해요

→ 원인질환은 없지만 키가 작은 경우를 특발성 저신장이라고 하는데, 이런 경우 어린 나이에 치료를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지만 건강보험이 적용은 되지 않아요
사춘기로 접어들면 성장판이 닫히기 때문에 여아의 경우에는 14세~16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그 이후 치료를 하게 되면 성장호르몬을 투여한다고 하더라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무분별한 성장호르몬 주사는 도리어 해롭다


성장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결핍에 효과적이지만 호르몬 수치가 정상이고 키가 정상범위에 있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효과가 별로 크지 않습니다
특히 성장판이 열려있고 투여시작 나이와 기간에 따라서도 효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에 따른 적절한 용량을 투여해야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 주사 부작용 


성장호르몬 주사는 척추측만증, 고관절 탈구, 일시적인 고혈당, 두통, 부종, 구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부작용 검사와 병행해서 치료가 들어가게 됩니다 

 

 

 

 

 

부모 그리고 병원의 역할


부모는 자녀의 비만, 생활습관, 식이를 잘 관리해 주고 영유아검진, 신체검사 등을 통해서 자녀의 성장추이를 잘 관찰해야 합니다
성조숙증, 비만, 저신장의 원인이 생활습관의 문제뿐만 아니라 유전 또는 다른 병변으로 인한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소아과 상담 후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 상급병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신장증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좋은가


저신장은 성장호르몬 치료가 어린 나이에 시행될수록 최종 성인키의 향상이 이미 보고가 되어 있으며, 특히 6세 이전에 치료가 된 경우 최종 키성장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최근에는 이제 영유아 검진이 만 6세까지 진행되고 있고 학교에서도 매년 키와 몸무게를 보면서 아이들의 성장추이를 관찰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들이 정상적인 성장과 비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입니다~

 

 

 

너무 쑥쑥크는 아이, 성조숙증 의심해보세요! (성조숙증 치료법/치료기간/성장호르몬 주사/치료

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오늘은 성조숙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아이가 쑥쑥 갑자기 크게 되면 흐뭇해지다가도 혹시나 성조숙증이 아닐까 하는 걱정이 앞서게 되는데요, 건강보

eonyainy.tistory.com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