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오늘은 갑작스러운 두통이 오래 지속될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는 질환 중에 하나인 '대뇌동맥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동맥류는 보통은 동맥의 벽이 돌출(확장)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뇌의 동맥(대뇌 동맥)에서 발생하는 동맥류는 대뇌동맥류, 혹은 뇌동맥류라고 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대뇌동맥류의 원인과 증상, 치사율, 합병증, 예방법, 명의추천까지 한번에 해드릴 테니 끝까지 정독해 주세요
대뇌동맥류는 대뇌의 뇌동맥 일부가 약해져서 그 부분이 풍선이나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상태를 말합니다. 터질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뇌출혈(지주막하출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는 주로 혈관이 큰 분지부에서 발생합니다. 뇌동맥의 혈관 벽은 매우 얇으며, 구조적으로 정상 혈관과 달라 쉽게 파열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미국에서 뇌동맥류는 3~5%의 사람들에게서 발생합니다. 뇌동맥류는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30~60세에서 가장 흔합니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합니다
사실 대뇌동맥류는 파열 전까지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초기 징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파열되지 않은 큰 대뇌 동맥류는 뇌 조직과 신경을 압박해서 두통을 유발할 수 있고 맥박과 동일하게 두근거리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박동성). 흔하지는 않지만 동공 확장이나 신체 한쪽의 쇠약, 마비와 같은 뇌졸중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뇌동맥류의 파열은 즉각적이고 심한 두통을 동반하는 지주막하 출혈을 유발합니다. 통증은 몇 초 내에 최고 강도에 도달합니다. 이는 때때로 벼락과 같이 나타나고 “지금까지 경험한 것 중 최악의 두통”으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동맥류 파열은 메스꺼움, 구토, 목 경직, 빛에 대한 민감성, 의식 상실 및/또는 발작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동맥류가 파열되어 뇌 조직으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뇌내 출혈), 종종 뇌졸중(일반적으로 출혈보다는 혈전으로 인해 발생함)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출혈은 뇌의 압력을 증가시켜 혼수 및 때로는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뇌동맥류는 파열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맥류가 크거나 증상을 야기하는 경우, 종종 외과적 복구를 통해 치료하게 됩니다. 다음과 같은 외과적 절차(혈관 내 수술이라고 함) 중 하나를 이용하여 동맥류를 치료합니다
1) 수술적 치료
2) 비수술적 치료
대뇌동맥류의 예방뿐만 아니라 모든 질병의 가장 큰 예방법은 생활습관 개선과 건강 관리에서 시작된다는 점, 다들 알고 계시죠?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박원형 교수님/안재성 교수님
대뇌동맥류는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지만, 파열될 경우 생명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을 조기에 관리하고 정기적인 검진으로 건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두통이나 시각 이상 등 경고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대표적인 겨울철 질환 (심뇌혈관, 호흡기질환) (81) | 2025.01.08 |
---|---|
늘어나는 연초 술자리, 통풍증상 미리 알고 대처하자 (원인 치료법 명의추천) (363) | 2025.01.02 |
잘먹는데 크지않는다면 저신장증 의심하라 (원인/진단/치료/보험) (246) | 2024.12.14 |
길렝바레 증후군 원인, 증상, 치사율, 치료법, 합병증 (Feat. 가수 '하하' 딸) (323) | 2024.12.03 |
묘기성 두드러기 원인 증상 치료법 생활습관 (377)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