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아직 5월인데도 날씨가 여름날씨에 육박할 정도로 낮기온이 오르고 있는 요즘입니다. 최근 서울의 낮 기온이 최고 29까지 올랐더라고요
매년 폭염일수가 늘어나면서 그로 인한 온열질환자들의 환자수 또한 늘고 있는 추세인데요. 오늘은 이러한 온열질환의 종류와 응급조치법, 예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 목차 ▷ 온열질환이란? ▷ 폭염일수그래프 ▷ 연령별 온열질환 지수 그래프 ▷ 온열질환의 종류 ▷ 폭염대비 건강수칙 |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서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과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에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병으로서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열사병과 열탈진이 있습니다.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추정 사인은 대부분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으로 확인됨
폭염일수와 온열질환자를 나타낸 그래프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여름철 폭염일수가 매년 증가하면서 온열질환자 발생건수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인구 10만 명당 온열질환지수를 보시면 점차 연령대별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어요
80세 이상의 어르신들은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특히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어린이나 학생 또한 폭염시 과도한 운동과 야외활동을 피해야 하고, 특히 어린이가 차 안에 잠시라도 혼자 있지 않도록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온열질환의 종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이 있습니다.
1. 열사병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가 외부의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서 그 기능을 상실한 질환입니다
다발성 장기손상 및 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고, 치사율이 높기 때문에 온열질환 중 가장 위험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증상
2) 응급처치법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음료를 먹이는 것은 위험하니 절대 금지합니다
2. 열탈진
땀을 많이 흘려서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1) 증상
2) 응급조치법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 이온음료가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
3. 열경련
땀을 많이 흘릴 경우, 체내의 염분 또는 칼륨, 마그네슘이 부족해서 근육경련이 발생하는 질환
특히 더운 환경에서 강한 노동이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함
1) 증상
근육경련(종아리나 허벅지, 어깨 등)
2) 응급조치법
4. 열실신
체온이 높아지면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서 체표면의 혈액량이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뇌로 가는 혈액량이 부족해지면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경우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있을 경우 발생합니다
1) 증상
실신(일시적 의식소실)
어지러움증
2) 응급조치법
시원한 장소로 옮겨서 평평한 곳에 눕힙니다(이때 다리는 머리보다 높여줍니다)
의사소통이 가능할 경우, 물을 천천히 마시도록 합니다
5. 열부종
체온이 높아지면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서 체표면의 혈액량은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 상태로 오래 서있거나 앉아있게 되면 체표에 순환하던 혈액의 수분들이 혈관밖으로 이동하면서 부족이 발생하게 됩니다
1) 증상
손, 발이나 발목의 부종
2) 응급조치
시원한 장소로 옮겨서 평평한 곳에 눕힙니다
부종이 발생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둡니다
6. 열발진/땀띠
땀관이나 땀관 구멍의 일부가 막혀서 땀이 원활하게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서 작은 발진과 물집이 발생하는 질환
1) 증상
여러 개의 붉은 뾰루지나 물집 발생
(목, 가슴상부, 사타구니, 팔, 다리 안쪽 등)
2) 응급처치
환부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발진용 분말가루 및 연고등을 사용합니다
7. 일광화상
햇빛(자외선)에 오래 노출되어 피부가 붉어지고 염증반응이 생김
붉고 따가운 피부
피부의 물집
1) 처치방법
최근 10년간(2014-2023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결과에 의하면, 온열질환자의 40.2%는 실외작업장과 논밭에서 발생하였고, 42.9%는 낮 시간에 증상이 발생했다고 해요
폭염인 낮 12시~오후 5시까지는 시원한 곳에 머물면서 휴식을 취하도록 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지긋지긋한 환절기 기침, 알고보니 기관지염! 폐렴으로 갈 확률은? (73) | 2024.05.16 |
---|---|
꽃은 좋은데..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생하시는분들은 이렇게만 따라 해보세요! (62) | 2024.05.14 |
지방간 원인, 증상, 치료법, 명의소개, 식사요법 (45) | 2024.05.09 |
림프부종 원인, 자가진단법, 치료, 예방법, 명의추천 (52) | 2024.05.08 |
칼로 찌르는 듯한 고통! 대상포진 (증상과 종류, 치료법과 예방법) (54)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