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오늘은 띠모양의 발진이라는 뜻을 가진 '대상포진'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해요. 수두에 감염된 과거력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대상포진 발병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령의 경우에는 늘 면역력 관리에 중점을 두셔야 해요. 대상포진의 종류와 원인, 증상과 예방법등 꼭필요한 내용들만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목차 ▷ 대상포진의 정의와 원인 ▷ 대상포진의 종류와 특징 ▷ 대상포진의 증상 ▷ 대상포진의 전염성 ▷ 대상포진 치료법 ▷ 대상포진 예방법 |
대상포진이랑 수두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소적이지만 매우 고통스러운 피부 발진 증상을 이야기해요
수두에 감염된 과거력이 있는 사람 누구에게나 대상포진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나이와 무관하게 발병하지만 고령의 성인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어릴 때 수두바이러스에 처음 감염됐다가 치료된 이후 바이러스가 척추의 신경절 세포에 잠복해 있다가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이 떨어지면 재활성화되며, 감각 신경을 따라 피부로 이동해 대상포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죠.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흔히 발병하며 재발병률은 약 1% 정도입니다
대상포진은 주로 1~2개 감각신경의 피부분절을 따라서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일측성이지만 신체의 앞 또는 뒤 정중선에서 급격한 경계를 보이기도 합니다. 환자의 나이나 건강상태, 감염된 위치에 따라서도 각기 다른 임상양상을 나타냅니다.
발생부위는 흉부가 가장 많고 뇌신경과 요추신경, 천골신경 순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첫 증상은 압통이 없는 국소적인 통입니다. 드물게 통증은 있지만 피부병변이 발생하지 않는 무병변 대상포진도 있습니다. 신경을 타고 통증이 퍼지는 방사통이 발생할 수 도 있고 중증도와 환자가 느끼는 통증은 대부분 비례한다고 하네요. 고령의 경우 더 심한 통증과 긴 회복기간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라면 2~4주 뒤 완전히 회복되지만 환부가 넓거나 눈 또는 여러 개의 피부 분절을 침범한 경우, 근육량 감소를 동반하는 경우 등은 해당 진료과와 협진이 필요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첫 증상은 국소적인 통증이거나 병변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발열과 두통, 침범 부위에 멍울이 만져지는 림프절 종대와 압통을 동반할 수 있으며, 통증 발생 후 1~3일 사이 피부 분절에 붉은 수포가 생기게 됩니다. 그 후 며칠간 새로운 병변이 발생하고 각 수포에 농이나 각질이 생깁니다.
# 국소적인 통증통증 → 발열, 두통, 림프절종대와 압통 → 피부분절에 붉은 수포 → 수포에 농이나 각질 발생
대상포진은 수두보다 전염력은 낮지만 발진 발생 후 7일까지는 수포나 농포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기 때문에 대상포진 환자와 직접 접촉 시 수두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신생아나 면역저하자는 반드시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대상포진의 치료에는 아사이클로비르, 발라시클로버, 팜시클로비르와 같은 항바이러스제를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항바이러스제 투약으로 질병의 기간과 정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발진이 나타난다면 그 직후 가능한 한 빨리 투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감소를 위해서는 아세타미노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신경통약 등을 투약합니다
통증이 정말 심할 경우에는 마약성 진통제를 투약하거나 신경차단술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기 때문에 평소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대상포진 바이러스 백신 예방접종을 통해서 발병률과 대상포진 후 신경통 발생위험을 90% 이상까지 줄일 수 있으며, 발병했다 하더라도 증상의 발현 정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습니다. 50세 이상의 성인은 과거 대상포진의 발병여부와 상관없이 재조합 백신을 총 2회, 2~6개월 간격으로 접종할 것을 추천드려요
예방접종은 최소 7년 이상 효과가 지속되기 때문에 대상포진을 앓고 난 후에도 추가로 접종을 맞으시는 것이 좋아요. 대상포진 급성기이거나 임산부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추후 대상포진을 최소한의 통증으로 빠르게 이겨내기 위해서 예방접종을 미리미리 맞으시기를 적극 추천드려요
지방간 원인, 증상, 치료법, 명의소개, 식사요법 (45) | 2024.05.09 |
---|---|
림프부종 원인, 자가진단법, 치료, 예방법, 명의추천 (52) | 2024.05.08 |
턱에서 딱딱 소리가 난다면? 턱관절 장애도 종류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증상, 예방법, 명의추천) (38) | 2024.05.06 |
요즘 유행하는 발작성 기침, 백일해 일지도?! (전파력/잠복기/증상/예방법) (43) | 2024.05.03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 증상, 물렸을때 대처법(사진주의) (39)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