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외여행 가기전이라면? '홍역' 대비하세요! (잠복기, 증상, 예방법, 치료법)

질병정보

by 어니이니 2024. 6. 3. 05:30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날씨도 좋고 기분도 좋고 이래저래 떠나고 싶은 초여름이네요. 요즘 해외여행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던데, 그래서 오늘은 해외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질병 '홍역'편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홍역은 기침과 재채기 등 비말감염 전염병으로서 전파력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특히나 주의하셔야 합니다. 홍역 주요발생국가와 증상, 예방수칙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반응형

온몸에 발진이 난 여성의 그림이 그려져있고, 그 위에 '해외여행가기전에 홍역예방법 확인하세요!'라는 멘트가 적혀있다

1. '홍역'이란?

홍역 홍역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전염성이 강해서 감수성 있는 접촉자의 90% 이상이 발병하는 급성 유행성 전염병입니다. 홍역에 걸렸을 때 얼굴이 발갛게 된다는 뜻해서 붙은 명칭이라고 하네요 

 

 

2. 홍역 잠복기 

  잠복기 : 7~21일 

 

 

3. 홍역의 증상

홍역의 증상을 3단계로 나타낸 그림
출처. 질병관리청

홍역의 증상은 전구 기와 발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전구기

코플릭 반점
코플릭 반점(출처. 네이버)

 

  •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로 3~5일간 지속됩니다
  •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 발현
  • 첫째 아랫니 맞은편 구강 점막에 충혈된 반점이 나타나는데(코플릭 반점) 12~18시간 내에 소실됩니다
  • 이어서 1~2만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2) 발진기

온몸에 난 발진을 나타낸 그림
전신발진(출처. 네이버)

  • 코플릭 반점이 나타나고 1~2일 후에 시작하게 됩니다
  • 홍반성 구진 형태의 발진이 목의 외상부, 귀, 뒤, 이마의 머리 선 및 뺨의 뒤쪽에서부터 생김
  • 그 이후 첫 24시간 내에 얼굴, 목, 팔과 몸똥 위쪽, 2일째부터는 대퇴부, 발까지 퍼지게 됩니다 (발진은 나타났던 순서대로 소실됨)
  • 콧물, 발열, 기침은 점점 심해져서 발진이 가장 심할 때 최고조에 달합니다
  • 발진 출현 후 2~3일째 증상이 가장 심하고 이어 24~36시간 내에 열이 내리고 기침도 적어집니다


→ 발진이 소실되면서 갈색을 띠게 되고 작은 겨 껍질 모양으로 벗겨지면서 7~10일 내에 소실되는데 이 시기에 합병증이 잘 생깁니다
그 밖에 경부 림프절 비대, 코 비대, 복통, 맹장염 증상 동반 가능성 있고, 영유아는 중이염과 기관지폐렴, 설사 및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나타납니다

 

 

 

4. 홍역 주요 발생 국가

홍역환자 발생 지역 분포를 나타낸 그림
출처. 질병관리청

 


5. 홍역 치료법

합병증이 없는 경우 특수 요법은 없고 기침, 고열에 대한 대증 요법을 진행합니다

 

6. 홍역 합병증

  • 호흡기 합병증이 가장 흔하고 약 4%에서 발생합니다 (주로 기관지염과 모세기관지염, 크룹, 기관지 폐렴의 형태)
  • 약 2.5%에서는 급성 중이염이 발생합니다
  • 뇌염, 길랭-바레 증후군, 반마비, 대뇌 혈전 정맥염 및 구후 신경염등이 드물게 발생합니다

 

 

7. 해외여행 시, 홍역 예방 수칙

1) 여행 전

  • 홍역 예방백신(MMR) 2회 모두 접종했는지 확인
  • 2회 모두 접종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출국 4~6주 전 의료기관 방문해서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받기


2) 여행 중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마스크 착용, 손 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하기

 


3) 입국 시

  • 입국시 발열이나 발진 등이 있는 경우 검역관에게 알리기
  • 마스크 착용 및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의료기관 방문하기(대중교통 이용 자제)
  • 의료진에게 해외여행력 알리기

 

 


8. 홍역 예방법

홍역 예방기준을 나타낸 표
출처. 질병관리청

  • 생후 12~15개월과 4~6세에 홍역 예방 접종을 실시해야 합니다
  • 예방접종을 하지 못한 소아가 홍역 환자와 접촉한 경우 아이의 연령, 면역 상태에 따라 면역 글로불린을 맞거나 백신을 접종해야 합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