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저희 집에는 두 명이나 비염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알레르기 비염에 관한 정보를 찾아보곤 했는데 잘못된 비염상식을 옳은이야기인냥 올려두신 분들이 꽤 되시더라고요. 비염스프레이는 스테로이드제이기 때문에 기피하시는 분들도 많으시던데, 사실 이 비염스프레이는 다른 스테로이드제와 달리 임산부도 사용할 정도로 무해하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비염관리만 제대로 해줘도 실제로성적이 오를 수 있다고 해요. 솔깃하시죠?ㅎㅎ 오늘은 비염을 앓고 있는 아들을 둔 엄마로서 비염스프레이 사용법과 집안 실내관리법, 잘못된 비염상식등 제대로 된 비염정보를 알려드릴게요!
많은사람들이 일 년 내내 감기가 열 번 이상 걸려서 감기를 달고 산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꽤 많아요
밤에 침대에 누우면 코가 막히고 답답해서 잠을 못 자는 경우도 있는데요
사실 이런경우 다 알레르기비염인 경우가 많음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죠
많은 분들이 가정에서 가습기를 사용하고 특히 비염이 있거나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가습기를 틀어야 코가 뻥 뚫리는 느낌이 든다고 생각해서 가습기가 비염치료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러나 가습기는 오히려 알레르기 비염에 좋지 않습니다!
1) 가습기가 비염에 도움이 되지 않는이유?
집먼지진드기는 습도를 먹고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습도가 50%로 넘어가게되면 집먼지진드기는 물을 마시는 느낌이 들면서 번식을 활성화하게 되는 것이죠
→ 집먼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반드시!! 습도를 50%보다 약간 낮게 유지하는게 훨씬 더 유리함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어렸을 때부터 비염이 있어왔기 때문에 본인이 비염이 있다고 인지를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코가 막힌 비염 환자들은 밤에 잘 때 수면무호흡증이 생기고 코골이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증상은 숙면을 방해하게 되고 숙면이 방해가 되면 뇌가 휴식을 하지 하게 되기 때문에 만성피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
는 학생들의 성적하락과 성인의 경우 업무능력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될 수 있어요
* 숙면방해 → 만성피로 → 일상생활 악영향→ 코가 막히고 밤에도 증상이 심해지는 사람의 경우는 숙면의 질 향상을 위해 반드시 비염치료가 필요합니다
보통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비강스프레이를 처방받게 되는데요.이 약은 오래 쓰더라도 내성이 쌓이지 않고, 알레르기성 눈가려움증과 코막힘에 가장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꾸준히 써야 효과가 있습니다
하루이틀 쓴다고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에요
1) 비염에 뿌리는 비강분무 스프레이 처방, 몸에 해롭다?
비염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비강 분무 스프레이는 스테로이드성 치료제이기 때문에 꾸준히 사용하시기를 꺼려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저역시도 처음에는 그렀고요
하지만 코에 뿌리는 비강용 스프레이는 99.9% 대부분 몸에서 다 분해되서 사라지게 됩니다
다른 쪽에서 쓰이는 스테로이드와 다르다는점을 인지해야 해요. 실제 임산부에게도 안전하다는 연구결과도 있고요
특히나 어린 경우 비염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으면 코와 편도선에 있는 아데노이드에 염증이 쌓이게 되어 반응을 하고 커지게 되면서 입을 계속 벌린 상태로 자거나 구강호흡을 통해 얼굴형태가 바뀌는 아데노이드형 얼굴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어릴 때부터 염증을 없애는 약을 꾸준히 뿌려줘야 부작용을 막을 수 있어요
2) 비강스프레이, 약국에서 파는 오트리빈과 같은 비강스프레이와 성분이 같나요?
다릅니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비강 스프레이는 항울혈제라고 순간적으로 뻥 뚫어주는 역할을 하는 약일 뿐이에요. 2~3주 지속적으로 쓰게 될 경우 오히려 코에 해롭습니다.
3) 비강분무 스테로이드를 만약 꺼려해서 먹는 약으로 대체할 경우, 추천의약품?
그나마 졸리지 않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콧물, 재채기, 코가려움증에 효능이 있는 대표적인 일반 약은 바로 세티리진, 펙소페나딘이라는 약물입니다
일반 의약품으로 구매가 가능하고 특히 '펙소페나딘'이라는 약은 특히 가장 졸리지가 않고 입도 마르지 않아서 학생들에게 추천하는 약제라고 해요
반대로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오히려 졸리고 뇌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학령기 자녀분들에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 약을 먹는다면 2세대 항히스타민제로, 더 좋은 치료는 꾸준하게 비강분무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는 것!
4) 비염치료에 쓰이는 비강스프레이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 내과 권혁수 교수님
독감 증상, 특징, 치료법, 백신, 후유증, 궁금증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께요! (152) | 2024.10.25 |
---|---|
배우 문근영이 앓았다는 '급성 구획 증후군', 원인과 증상 치료법 (171) | 2024.10.23 |
면역력이 떨어졌다는 신호, 이렇게 확인해보세요! (면역력 영양소/음식/면역력저하 신호/관리법) (313) | 2024.10.17 |
너무 쑥쑥크는 아이, 성조숙증 의심해보세요! (성조숙증 치료법/치료기간/성장호르몬 주사/치료비) (282) | 2024.10.15 |
요즘 난리난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감염경로 증상 잠복기 치료방법까지! (212) | 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