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미국에서 맥도널드 햄버거를 먹고 5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해서 글을 올려요. 그 브랜드는 바로 우리에게 너무너무 친숙한(특히 저에게) '맥도날드' 였는데요, 22일 미국통신에 따르면 햄버거를 먹은 후 1명이 숨지고 49명이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고 해요. 대체 뭐가 문제였을까요? 우리는 또 패스트푸드 음식을 먹을 때 어떤 부분을 주의해야 할지 함께 알아볼게요
지난 22일(현지시각)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 맥도날드 햄버거를 먹은 후 1명이 숨지고 49명이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CDC는 "콜로라도와 네브래스카주 등 10개의 주의 맥도널드에서 판매되는 '쿼터파운더 치즈' 햄버거에서 대장균 변종인 'O157:H7'이 검출됐다"라고 밝혔는데요, 식중독을 일으키는 이 대장균은 1993년 잭 인 더 박스 레스토랑에서 덜 익힌 햄버거를 먹고 어린이 4명이 사망한 것과도 관련이 있는 변종입니다
CDC 조사관들은 양파와 소고기 패티의 오염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지만 아직 어떤 재료가 대장균에 오염됐었는지는 파악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사태 이후에 현재 맥도날드는 식중독이 발생한 10개 주 매장에서 쿼터파운더 치즈 햄버거를 메뉴에서 일시적으로 제외했고, 쿼터파운더 치즈 햄버거용 소고기 패티와 양파도 수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미국 맥도날드 대장균 검출 사건과 관련해서 한국 맥도날드는 "해당 이슈는 미국에서 발생한 사안으로 국내와는 무관하다"라고 했다고 하죠?
실제 우리나라에서도 17년도에 강남점에서 기준치에 3배 이상 초과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어 이슈가 되었던 적이 있었죠
이번에 미국 맥도널드에서 검출된 'O157:H7'은 대장균 O157로 알려진 장출혈성 대장균입니다. 이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의 일종인데요, 장출혈성 대장균은 장관 상피세포에 벽돌처럼 쌓여 대량의 독소를 생산하게 됩니다.
충분히 익히지 않은 육류, 날것으로 먹는 채소, 소독되지 않은 우유 등을 섭취해 전파될 수 있고 사람과 사람 간의 직접 전파도 가능합니다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은 대개 5~10일이면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됩니다. 감염된 환자는 격리 치료해야 합니다.
용혈성 요독 증후군이나 출혈성 설사를 치료할 때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면 장출혈성 대장균이 독소를 더 많이 분비하기 때문에 질병상태가 더 심각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항생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장출혈성 대장군으로 인한 설사는 탈수를 교정해 주는 대증치료만 해주면 보통은 10일 이내에 회복되게 됩니다
용혈성 요독 증후군으로 진행되게 되면 수혈이나 투석등의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피부상처로 인해 감염되는 '봉와직염', 증상 특징 치료법 명의추천 (293) | 2024.11.02 |
---|---|
유방암 위험 줄이는 다섯가지 식품이 공개되었습니다!! (유방암 예방 음식) (270) | 2024.10.31 |
독감 증상, 특징, 치료법, 백신, 후유증, 궁금증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께요! (152) | 2024.10.25 |
배우 문근영이 앓았다는 '급성 구획 증후군', 원인과 증상 치료법 (171) | 2024.10.23 |
우리 아이 비염 치료기 (비염원인/증상/감기와 차이점/스프레이 사용법/잘못된 비염 상식) (240)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