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찬바람이 부는 선선한 가을이 되면 부쩍 우울함과 무기력함을 느끼는, 일명 '가을을 타는' 분들이 많아집니다. 그런 증상이 심해질 경우 의학적으로는 계절성 우울증의 한 부분으로 분류하기도 해요.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9~11월에 우울증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은 환자수의 수가 90만 명에 달 한다고 해요. 또 다른 계절성 우울증 시기인 봄과 겨울에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치인데요(봄 88만, 겨울 83만)
왜 가을과 겨울에 특히 더 우울감을 느끼는 걸까요?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예방법, 명의소개까지 한 번에 알려드릴게요
<목차> ▶ 계절성 우울증이란? ▶ 가을우울증, 원인은? ▶ 가을우울증 증상 ▶ 가을우울증 예방법 ▶ 치료법 ▶ 명의추천 |
매년같은 계절이 되면 의욕이 없어지고 몸과 마음이 처지는 우울증의 한 형태입니다. 지난 2년 이상 특정한 계절에 우울해지고 그 계절이 지나가면 또 괜찮아지는 경우를 이야기하는데요. 가을과 일조량이 적은 겨울에 가장 많다고 하네요
계절에 따른 기분 변화가 모두 계절성 우울증은 아닙니다. 봄에는 마음이 설레고, 가을이 되면 약간 쓸쓸한 느낌을 가져본 경험이 있으실 거예요. 또한 겨울에 게을러지고 기분이 조금 울적해지는 것에 대해서 'winter blue'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흔한 일들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계절성 우울증은 이보다 훨씬 더 심하다고 해요.
가을 우울증은 매우 흔합니다. 자료에 의하면 성인 100명 중 3명은 특정 계절에 우울한 계절성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하고, 환자의 80%가 여성이라고 하네요. 원인은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심리적, 신체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어요
특히 환경적 요인은 가을 우울증 유발의 주범으로 꼽힙니다. 가을이 되면 날씨등 주변 환경이 급하게 바뀌면서 신체 호르몬 분비에도 변화가 찾아옵니다. 일조량이 줄어들면서 햇볕을 받아야 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분비량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세로토닌은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것처럼 긍정적인 감정과 연관되어 있는데, 그 분비량이 줄어들게 되면 자연적으로 우울감에 취약하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줄어든 일조량은 멜라토닌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는데요, 멜라토닌은 수면을 포함한 인체의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서 특히 밤에 주로 생성되어 수면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가을의 환경 변화는 멜로토닌이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낮에도 졸음이 몰려오고 처지고 가라앉는 기분을 느끼게 되는 것이에요
가을 우울증 증상은 일반적인 우울증과 다르지 않습니다. 지속적인 우울감, 의욕저하, 흥미저하, 식욕저하, 주의 집중력 저하, 부정적 사고등이 있습니다
다행히도 가을 우울증 와 같은 계절성 우울증은 일반적인 우울증과는 다르게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때로 중증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우울감과 우울증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해서 전문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추천드려요
또한 일조량이 부족해지면서 세로토닌의 분비량이 줄어들어 발생하는 증상이기도 하기 때문에 햇볕을 쬐는 것만으로도 예방에 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어요. 점심시간에 잠시나마 바깥에 나가 산책을 하면서 햇볕을 받으면 세로토닌의 분비량도 증가하고 비타민D도 자연적으로 합성되어 건강까지 챙길 수 있습니다.
운동을 하는 것도 권장드려요. 산책과 가벼운 운동은 엔도르핀이라는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서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 빛(광선치료) : 가장 중요한 것은 빛입니다. 가을과 겨울에는 햇볕이 더 줄어들다 보니 인공적인 빛을 쬐기도 합니다. 주로 북유럽에서 가을에 시작하는 치료인데 하루 20~60분 10,000 lux 정도의 빛을 쬐게 됩니다.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돈을 들여서 광선치료기구를 구매하시기에 앞서 햇빛을 의도적으로 자주 쬐어주는ㄴ것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해를 직접 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고, 흐린 날에도 실내보다는 야외가 밝기 때문에 매일 30~60분 이상 햇빛을 쬐주시면됩니다
* 비타민D 섭취: 또한 비타민D 부족도 우울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햇빛을 쬐어도 비타민D가 합성하지 어려운 겨울철에는 종합비타민보다는 집중적으로 비타민D가 함유된 제품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항우울제복용: 계절성 우울증의 경우 항우울제 복용도 불안장애 쪽보다는 축 처진 경우 기분을 전환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항우울제가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형근 교수님
치쿤구니야열 잠복기, 증상 및 치사율, 치료방법 (237) | 2024.09.23 |
---|---|
가을철 일본뇌염모기 주의보!! (원인, 증상, 특징, Q&A, 치사율, 예방법) (235) | 2024.09.19 |
가을철 진드기 '쯔쯔가무시증' 주의하세요! (잠복기/치명율/증상/예방법) (203) | 2024.09.13 |
돌발성 난청, 젊은사람도 걸릴 수 있다 (증상, 치료, 예방법, 명의추천) (304) | 2024.09.05 |
뇌전증 원인/증상/치료/음식/명의추천/응급처치법 (대발작,경련) (276) | 202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