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니이니입니다. 뇌전증이라는 질병이라는 이야기 하면 '간질, 발작'이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 뇌전증은 뇌의 신경세포들이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를 발산하면서 반복적인 발작증상을 일으키는 만성 신경질환인데요. 특히나 소아와 노인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최근 KBS 인간극장에 트로트가수 김소유 님이 2년간 뇌전증으로 병상에 누워계신 아버지를 살뜰히 간병하는 사연이 방영되면서 뇌전증이라는 질병이 화제가 되고 있어요. 오늘은 뇌전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예방법, 응급처치법, 명의추천까지 한 번에 다 알려드릴게요
<목차> ■ 뇌전증이란? ■ 뇌전증의 원인 ■ 뇌전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 ■ 뇌전증 전조증상 ■ 뇌전증 증상 ■ 치료법 ■ 뇌전증 환자 발생시 응급처치법 ■ 예방법 ■ 뇌전증에 좋은 음식 ■ 운동법 ■ 명의추천 |
뇌전증(Epilepsy)의 어원은 그리스에서 유리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악령에 의해 영혼이 사로잡힌다는 뜻에서 시작되었다고해요
의학기술이 발달하지않았던 시기에 경련발작을 일으키는 뇌전증 환자를 보고 악령에 들렸다고 생각했던 것이죠
뇌전증은 뇌의 신경세포들이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를 발산하여 반복적인 발작을 일으키는 만성 신경질환입니다. 발작의 형태와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며, 이는 뇌의 어느 부위에서 전기 신호가 발산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뇌전증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소아와 노인에게서 많이 발견됩니다
뇌전증의 원인에는 유전적 요인(가족력), 임신 중의 영양 상태, 출산 시의 합병증, 두부 외상, 독성 물질, 뇌 감염증, 종양, 뇌졸중, 뇌의 퇴행성 변화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뇌전증의 정확한 발생 기전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뇌전증은 출생 시, 출생 후에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전증 발작은 여러 심각한 뇌 질환의 증상 중 하나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뇌전증의 원인이 된 질환이 더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아요
뇌전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을 연령에 따라서 구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뇌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운동성 경련 발작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뇌의 영역과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팔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 영역에서 발작증상이 나타나면 단지 한쪽팔만 떠는 정도의 증상정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측두엽 부분에서 뇌전증 증세가 나타나면 멍해지면서 의식을 상실하고 입맛을 다시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양쪽뇌에 전체적으로 퍼지면 거품을 물고 온몸이 뻣뻣해지는 대발작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뇌전증에 의한 발작은 영향을 받은 뇌의 부위와 그 강도에 따라서 눈꺼풀을 가볍게 깜빡이는 것부터 몸 전체가 격심하게 떨리는 것까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전증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수술치료로 구분됩니다. 뇌전증 환자 10명 중 7~8명은 약으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약물치료가 우선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약물로 뇌전증이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환자는 수술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1) 약물치료
향경련제를 사용해서 발작을 억제하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약물 개별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맞추어 처방하고 꾸준한 복용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항경련제는 뇌전증의 형태, 환자의 나이, 동반된 질환, 다른 항경련제와의 약물 상호작용, 복용 중인 다른 약물과의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모든 항경련제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비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2) 수술치료
약물로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약물 난치성 뇌전증은 발작을 일으키는 뇌의 특정 부위를 제거하거나 신경 자극기를 삽입하는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옛 어른들이 뇌전증 환자가 발작 시에 손을 따거나 사지를 계속적으로 주무르는 행위를 하시는 것을 실제로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경기를 억제하는 데에 이러한 행위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하네요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은 '입안의 침이나 구토물이 흡인되지 않도록 고개를 돌려주고 호흡을 하기 편하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뇌전증의 발병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발작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뇌전증 환자에게는 뇌 건강을 지원하고 발작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전증 환자는 무엇보다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운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아산병원 구용서 교수님
뇌전증 환자에게 중요한 것은 꾸준한 관리와 예방입니다. 증상이 의심되거나 치료가 필요하다면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을철 진드기 '쯔쯔가무시증' 주의하세요! (잠복기/치명율/증상/예방법) (203) | 2024.09.13 |
---|---|
돌발성 난청, 젊은사람도 걸릴 수 있다 (증상, 치료, 예방법, 명의추천) (304) | 2024.09.05 |
2024 지긋지긋한 코로나, 결국 또 걸렸다! (코로나 증상, 치료약, 아이들 코로나와 차이점) (163) | 2024.08.28 |
뇌막에 생기는 종양, 수막종 (원인과 증상, 치료법, 명의소개까지 !) (106) | 2024.08.19 |
가슴이 찢어지는 통증 '대동맥박리', 절대 방치하지마세요! (증상, 명의추천, 치사) (198) | 2024.08.14 |